용어정리

  • 각궁 (角弓) 전시·수렵용과 연악·습사용(嘗樂習射用)의 2가지가 있으며 전시·수렵용은 뽕나무, 뿔, 소힘줄, 실, 민어부레풀, 옷칠등의 6가지 재료를 사용하며 연악·습사용은 뽕나무, 뿔, 소힘줄, 민어부레풀, 참나무,대나무, 화피(樺皮)의 7가지 재료로 만듦
  • 강궁 (强弓) 센 활
  • 곁피 줌위를 싼 벚나무 껍질을 말함
  • 고자 도고지로부터 양냥고자 끝까지 전체부분을 말함
  • 고자잎 도고지 다음 부분부터 양냥고자 전까지를 말함
  • 궁간목 (弓幹木) 목궁(木弓)의 재료로서 애끼지 즉 산비마자나무를 말함
  • 궁대 (弓袋) 활을 넣는 주머니로 활을 쏠때는 허리에 둘러 메고 살을 꽂음
  • 궁의 (弓衣) 궁대와 같음
  • 궁현 (弓弦) 활시위
  • 양냥고자 심고를 거는 고자 끝부분
  • 단궁 (檀弓) 한국 목궁의 시초로서 박달나무 활을 말
  • 대림끝 활의 아래 아귀와 밭은 오금사이, 즉 줌으로 붙인 참나무의 양쪽 끝부분
  • 도고지 시위에 심고를 맨 부분이 닿은 곳에 붙인 원형의 가죽
  • 동개활 활과 화살을 동개에 넣어 등에 메고 말타며 쏘는 제일 작은 활
  • 막막각궁 (莫莫角弓) 아주 센 활
  • 만작 : 활을 쏘기 절차 중에서 완전히 시위를 귀 뒤로 당긴 상태
  • 먼 오금 한오금과 삼삼이 사이
  • 면 벚 도고지 바로 밑부분을 감은 벚나무껍질을 말함
  • 목궁 (木弓) 애끼찌와 산 뽕나무로 만드는 전시와 수렵에 공용된 활
  • 목소 본래 후궁의 뿔에 댄 뽕나무를 말하며 현재는 도고지에서 삼삼이까지를 말함
  • 무력심 양냥고자의 심고가 걸리는 부분에 감은 소힘줄
  • 무력피 무력심을 덮은 가죽으로 서피라고도 함
  • 반궁 (半弓) 대궁의 반 정도 되는 짧은 활. 앉아서 쏠 수 있었다고 함
  • 밭은 오금 대림끝과 한 오금 사이
  • 부레풀 활의 각 재료를 붙이는 접착제로 민어의 부레를 지방질만 제거하여 끓여서 쓴다.
  • 부린활 시위를 풀어 놓은 활
  • 보싸기 활의 줌 허리를 벚나무 껍질로 싼 꾸림새
  • 뿔끝 뿔과 뽕나무 끝이 서로 닿는 곳새
  • 삼동 줌통과 양편 목소
  • 삼삼이 먼 오금 아래 대나무와 뽕나무가 연결되는 곳
  • 실중힘 활에 화살을 끼워 잡아 당기는 줄
  • 심고 센 활 다음 가는 활로 실중력(實中力)이라고도 함
  • 아귀 시위 끝에 심으로 만들어 양냥고자에 거는 고리
  • 아귀피 줌아래와 위에 벚껍질로 감은 곳
  • 아래아귀 줌피의 아래 끝 부분
  • 아래장 활의 한통 아래부분